-
- 대구십일사건 [People's Uprising in October 1946, 大邱十一事件]
- (관련어
대구폭동사건)
-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정치/법제 > 정치
- [정의] 1946년 좌파 세력과 민중이 대구를 시작으로 남한 전역에서 미군정의 실정을 비판하고 시정을 요구하며 일으킨 사건. [역사적 배경] 해방 후 미군의 진주를 환영하였던 민중은 미군정의 정책이 기대와는...
- 이칭별칭 대구10·1사건|10월 인민항쟁|10월항쟁 유형 사건 시대 현대
- 성격 민중항쟁 관련인물·단체 박헌영, 조선공산당, 조선노동조합전국평의회, 전...
-
- 대구 10·1 사건
- (관련어
대구폭동사건)
- 위키백과
- 대구 10·1 사건(大邱 10·1 事件)은 1946년 10월 1일에 미군정 영역인 대구 지역에서 시작된 대규모 시위, 유혈 사건이다. 비판하는 측에서는 10월 대구 폭동, 10월 폭동, 대구 폭동, 옹호하는 측에서는 10월...
-
- 대구10월사건 [大邱十月事件]
- 두산백과 사건사고 > 한국
- 과거 권위주의 정부 시대에는 조선공산당의 지령과 선동으로 일어났다고 그 의미를 왜곡하여 ‘대구폭동’이라고 불렀으나 2000년대 이후 희생자들의 유족과 지역 언론, 학계의 문제제기가 잇따르면서...
- 관련정보 조선공산당, 9월총파업
-
- 10·1폭동사건 (칠곡 사건사고와 사회운동) [10·1暴動事件]
- 향토문화대전
- 1946년 가을 경상북도 대구에서 일어나 칠곡군 등 전국으로 번져 나간 시위 사건. [개설] 사건은 ‘10·1사건’, ‘10월 폭동사건’, ‘10·1폭동’, ‘영남폭동’, ‘10·1소요’, ‘46년 가을 폭동’, ‘10월...
-
- 대구광역시 [大邱廣域市]
-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지리 > 인문지리
- 미군정이 지속되던 1946년 10월 1일 좌익의 교묘한 선동에 의해 이른바 10·1폭동사건이 일어나 많은 인명과 재산피해를 낸 뒤 진압되었다. 이러한 좌익에 의한 혼란을...
- 이칭별칭 달구벌, 대구 도·시·군청소재지 대구광역시 중구 동인동 유형 지명
- 시대 현대 성격 광역시 위치 경상북도 남부 인구 249만 2,724명(2008년...
-
- 황태성간첩사건 [黃泰成間諜事件]
-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정치/법제 > 국방
- 광복 후 조선공산당에 입당하여 경상북도당 조직부장으로 활동하고 1946년 10월 1일 ‘대구폭동’을 주동하다가 월북하였다. 월북한 뒤 북한의 대남공작 담당기관인 해주인쇄소 총무국장으로 재직하였으며...
- 유형 사건 성격 간첩사건 시대 현대
- 발생·시작 일시 1961년 관련인물·단체 황태성, 박정희, 김종필
-
- 대구학살사건 [大邱虐殺事件]
- 두산백과 사건사고 > 한국
- [요약] 1919년 3 ·1운동 때 대구광역시에서 발생한 시위군중 살해사건. [본문] 대구광역시에서는 약 2만 3,000여 명의 군중이 만세 시위운동에 참가하였는데, 시위군중의 대열이 온 시가지를 메우자 당황한...
- 어디서 한국 대구 언제 1919년 3 ·1운동 때 누가 총독부 경찰
- 무엇을 만세 시위운동에 참가한 약 2만 3,000여 명의 군중
- 관련정보 3·1운동
-
- 현대조선폭동사건 [現代造船暴動事件]
- 한국근현대사사전 한국사 > 한국현대사
- 1974년 9월 19일 울산 현대조선소 기능공 2천 5백여 명이 능률급이라는 명목하에 기한부 도급제를 도입하려는 회사 측 방침에 반발, 공장본관에 몰려가 투석·방화한 사건. 노동자들은 본관 앞과 작업장에서...
- 시대명 현대 연도 1974
-
- 대구반란사건 [大邱叛亂事件]
- 두산백과 사건사고 > 한국
- [요약] 1948년 11월 2일 대구에 주둔하고 있던 제6연대 소속의 일부 남로당계(南勞黨系) 군인이 주동이 되어 일으킨 반란사건. [본문] 전남의 여수(麗水) ·순천(順天)에서 일어난 반란을 진압하기 위하여 부대가...
- 어디서 대구 언제 1948년 11월 02일
- 누가 제 6연대소속 남로당계 군인 무엇을 반란 어떻게 장교 살해
- 관련정보 남조선노동당, 대구광역시
-
- 쓰촨폭동 [四川暴動(사천폭동)]
- 두산백과 사건사고 > 외국
- [요약] 중국 청(淸)나라 말기에 철도문제와 관련하여 일어난 폭동사건. [본문] 청일전쟁 후 유럽 열강은 중국에 대한 이권 획득을 위하여 광분하였다. 1911년 5월 청나라는 철도 국유화령을 발표하고, 우정대신...
- 관련정보 5·4운동
아래는 구미 폭동
-
- 구미 사건
- (관련어
구미 폭동)
- 위키백과
- 구미사건 또는 구미사태는 1946년 10월 1일 대구 10·1 사건이후 1946년 10월 3일 구미 지역에서 박상희를 중심으로 일으킨 사건이다. 박상희는 1946년 구미사태 당시 시위대와 경찰을 중재하던 중 군정청 경찰이...
-
- 대구 10·1 사건
- 위키백과
- 같이 보기[편집] 조선공산당 남로당 박헌영 박상희 장택상 박정희 미군정 신의주 반공학생사건 구미폭동 9월 총파업 참고 자료[편집]박세길 (1999년 5월 1일). 〈제2장 좌절과 분노 - 10월 인민항쟁〉, 《다시...
-
- 에도시대의 3단계 시기
- 두산백과 동양사 > 근세및근대
- 이후, 구미 제국의 강경한 압력에 못이겨 마침내 20년간의 쇄국을 깨고 개국, 무역을 시작하게 됨으로써 국내는 더욱 분열, 혼미해졌다. 사쓰마 ·조슈한이 막부 반대의 자세를 굳힌 가운데, 백성의 봉기 ·폭동...
-
- 일본으로의, 미국으로의 이주 : 일본 · 미주 이주 동포
- 고교생이 알아야 할 한국사 스페셜 한국사 > 한국사일반
- 이때 일본 당국은 ‘조선인이 폭동을 일으켜 일본인을 죽이고 있다.’는 유언비어를... 임시정부의 외교기관인 구미 위원부 활동도 적극 지원했지요. 제2차 세계대전이 일어나자...
-
- 게르만 족의 골 침입
- 프랑스사 프랑스사 > 프랑스사일반
- 초기에 소규모의 약탈로 시작된 반란은 3세기 후반부에 몰락한 농민들의 폭동인 자크리(Jacquerie)의... 서유럽에서도 가장 부유한 골 지역은 침입자들의 구미를 당기기에 충분했다. 그들은 골 지역에 대거...
-
- 베네수엘라의 역사
- 두산백과 역사 > 서양사
- 계속되었고, 구미(歐美) 열강세력의 진출도 많았다. 고메스의 독재기간(1908∼1935)에는 특히 석유에... 그러나 이에 시민들의 대규모 폭동이 야기되고 1992년 2월과 11월 군부 쿠데타가 발생하는 등 정국이...
- 관련정보 후안 빈센테 고메스, 마르틴 루이스 구스만, 시몬 볼리바르, 크리스토퍼 콜럼버스
-
- 사회운동 [社會運動]
-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사회 > 사회구조
- 대외적으로 구미자본주의 열강에 의한 침략이 감행됨으로써 민족주권은 위기에 처하게... 때마침 일본에서는 쌀소동이라는 민중폭동이 일어났다. 당시 일본은 제1차세계대전으로...
- 유형 개념용어
-
- 맑스의 생애에 관한 간략 연표
- 맑스사전 서양철학 > 현대서양철학
- · 뮌헨에서 폭동 발생(2.8-2.11). · 파리 2월 혁명 소식이 독일에 전해지자 각지에서 폭동과 집회 발생.... · 일본에서 폐번치현(廃藩置県)(7), 이와쿠라 사절단 구미 파견. | | 1872 | · 『자본』 러시아어판...
- 저자 이시즈카 마사히데(石塚正英)
댓글 없음:
댓글 쓰기